과학(6)
-
대통일 이론의 수학적 증명 진척 ?
인스타그램의 알고리즘이 나를 이 포스팅으로 이끌었는데, 참 환상적이고 직관적인 그림 아닌가? .Journal of Physics: Conference Series 에 발표된 논문이고, Jussi Lindgren, Andras Kovacs, Jukka Liukkonen가 참여했다. 중력과 전자기력은 시공의 아주 미세한 굽힘의 동전의 양면과 같은 표출현상이라는 것이다. 좋은 시도라는 생각이 든다. 직관적이고, bold하다. "Reimagin them as different forms of spacetime deformation" 이 수학 공식에서는 중력과 전자기력을 두 개의 별도의 힘으로 가정하지 않고, 시공간이라는 동전의 양면으로 가정했다. 이 이론이 아직 초기이고, 몇 몇 가정들은 유효성을 인증 받아야..
2025.05.07 -
거친물결 구름 Asperitas
아스페리타스라고 해서 (라틴어인데도 미국 애들은 에스패리타스라고 발음 하더라..) 대우 에스페로가 떠올랐었는데, 아마도 아닌 것 같다. 희망하다를 뜻하는 스페인어에서 가져왔다고 한다. 스페인어면 라틴어 계열이긴 한데, Espero 라서 스펠링이 다르다. .어쨌든, 덕분에 추억 여행 한 번 했고... .최근에 이 거친물결 구름이 나타나서 살짝 이슈가 되었었던 것 같다. .나는 그런 구름이 있는 줄도 몰랐었네.. 못봐서 아쉽다... 이런 느낌이었었는데, 오늘 구글포토를 뒤지다 보니까, 나는 목격도 했었고 사진도 찍었었네... 역시 사람의 기억력이라는건 믿을게 못된다. 사진이 최고야! .2014년 당시 이촌동 집에서 찍었던 사진. 살짝 미흡하긴 하지만, 세기말 같은 느낌에 사진들을 찍었었던 기억이 이제서야....
2025.05.06 -
기존 최고 해상도를 3배 높여 원자 관측: PrScO3 크리스탈 사진
코넬대 연구팀이 자신들의 2018년 기록을 자체 경신했다. . Researchers see atoms at record resolution In 2018, Cornell researchers built a high-powered detector that, in combination with an algorithm-driven process called ptychography, set a world record by tripling the resolution of a state-of-the-art electron microscope. phys.org . Praseodymium orthoscandate (PrScO3) crystal 결정을 1억배로 촬영하여 재구성한 사진. . 여기에 사용된 Ptychogra..
2021.05.22 -
자연계 제5의 힘 증거 발견
방금 꽤 긴 글을 쓰고 힘이 들지만 이건 안가져 올 수 없네. . futurism.com/evidence-fifth-force-nature?fbclid=IwAR2W3OgY3ZRhOm-kjC57On3b8dO7UqnQgkg6ATGnBIRf0bOK2rtDBkuxK2E Scientists Just Found Evidence for Fifth Force of Nature A mysterious force is causing this subatomic particle to behave in very unusual ways. futurism.com . 일리노이주 페르미연구소에서 뮤온이 표준모형으로 설명할 수 없는 움직임을 보이는 것이 관찰됨. . . 뮤온 Muon 은 소립자이지만 전자보다 207배나 무거운데, 46피..
2021.04.09 -
창의성과 수학
http://tvcast.naver.com/v/203716 창의성과 수학 Naver Cast. 불행인지 다행인지, 별로 새로운 건 없다. -_-;;;;
2014.09.12 -
수학 영재는 경시대회에서 상을 받는가?
원래는 간단하게 쓰려고 했는데... 꼬리에 꼬리를 무는 바람에 길어졌다. 오히려 수학 영재 이야기 보다는 Frank Ramsey에 대한 글이 되어 버림. -_- ;;;; 아뭏든, 글을 쓰면서도 상당히 자극을 받았다. 그 뼈대가 무엇인지는 알겠으나, 그래도 그 짧은 시간에 이렇게 다양한 업적을 남기다니... 나도 분발해야겠다. 수학 영재는 주어진 시간에 빠르게 문제를 푸는 기술을 가진 애들이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는 다른 분야와 마찬가지로 수학 영재 분야도 이렇게 왜곡 되어 있지만..) 수학에 큰 재미를 느끼고, 혼자서 다양한 관점을 개발해 가며 문제를 풀어낼 수 있는 사람일 것이다. 즉, 수학에 특화된 '생각의 힘'이 큰 사람. 그런데 지금 우리나라의 교육 제도나 입시제도에서 수학 영재가 나올 수 있..
2013.0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