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르도] 레오빌 라스까스 2000, 슈발 블랑 2012, 샤또 빠비 2015

2024. 10. 13. 01:11Wine & Liquor/보르도

6종의 와인을 마셨는데, 

.

이 중 3종이 보르도이지만 워낙 쟁쟁한 애들이라 이 아이들 중심으로 글을 쓸 예정이므로 [보르도] 카테고리에 저장한다. 

.

도멘 뒤작의 끌로 생드니 2010 (부르고뉴) , 물랭아방의 크로아 데 베히아 2011 (부르고뉴 옆 보졸레) , 펄리스 레이븐 2019 (미국 나파밸리) 얘네들도 아주 훌륭하고 사실 이날 펄리스는 1등이라고 볼 수도 있을 정도의 Performance를 보여주었지만... 

.

이 포스팅에서는 보르도 위주로 작성하고, 나중에 다시 언급할 기회가 있기를. 

.

보기만 해도 어마어마한 Line up. 

.

레오빌 라스까스 2000  Château Léoville Las Cases

.

빈티지가 너무 좋아서, 그리고 25년이면 꽤 묵기도 했고 해서, 이 날 가장 기대했던 와인이었으나... 

.

나쁘지는 않았지만, 기대만큼은 아니었던...

.

.대진이 안 좋았던 것일까? 

.

https://maps.app.goo.gl/nkKd9gg5uYa7QR7T7

 

샤또 레오빌 라스 까즈 · Rue de l'École, 33250 Saint-Julien-Beychevelle, 프랑스

★★★★★ · 포도 농장

www.google.com

.

생 줄리앙을 대표하는 보르도 2등급 와인이다. 특히 2000빈티지는 와인스펙테이터 점수 100점을 받기도 했다. 

.

다만 오늘은 좀... ㅜㅜ 

.

역시 와인은 주관적이고 상대적인 부분이 매우 큰 술이다. 

.

지도를 보면 레오빌 씨리즈의 다른 와이너리들... 레오빌 푸아페레는 약 100m 위 매우 근접하게 위치해 있고... 

.

(라스까스와 푸아페레는 원래 Leoville이라는 이름의 같은 와이너리 였다가 먼저 레오빌 바르똥이 잘려서 팔리고, 그 다음 상속 과정에서 레오빌 라스까스와 레오빌 푸아페레가 분리 되었다.) 

.

레오빌 바르똥은 저 밑으로 있다. 워낙 오리지날 레오빌 포도밭이 넓어서.. 당시 보르도에서 제일 큰 포도밭이었다고 하는데, 세 곳으로 나뉘어도 거리가 꽤 된다.

 

.

슈발 블랑 2012

.

몇 개 안되는 내 블로그 와인 포스팅 중에도 있는 슈발 블량 2012. 

.

https://kirinos.tistory.com/850

 

[프랑스] 슈발블랑 2012 Cheval Blanc, 쌩떼밀리옹, 보르도

영화 사이드웨이에서 충격적인 장면을 선사해줬던 슈발블랑. .잔이 얼마나 중요한지 아는 입장에서는, 거의 자기 학대, 자기 파괴의 최고봉으로 꼽힐 장면이 아닐까 싶다. .물론 와인을 모르는

kirinos.tistory.com

 

.

좋아하는 와인이지만, 늦게 풀리는 성향이 있어서 사실 제대로 마시려면 내일 오전이 맞았을 듯.. 2012도 아직 너무 이르고, 따자 마자 몇시간 내에 마시기도 이르고. 

.

어쨌든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 2시간 정도 지나자 포텐셜을 보여주기 시작. 

.

빠비하고 막상막하의 대결을 펼쳤다. 

.

난 이 아련한 유칼립투스 향이 너무 좋다. 

.

샤또 빠비 2015

.

이 날 아마도 1등 와인. 

.

https://maps.app.goo.gl/qiA5swcJf7GLZqAy7

 

Château Pavie · 2 Pimpinelle, 33330 Saint-Émilion, 프랑스

★★★★★ · 포도 농장

www.google.com

 

.

빠비는 정말 내가 마셔본 모든 바틀이 압도적으로 맛있었다. 

.

내 최애 와인 중 하나임. 

.

오존, 빠비, 슈발블랑, 앙젤루스 이 4개의 와이너리가 쌩떼밀리옹을 대표하는 탁월한 곳들인데... 

.

아래 보르도 우안 지도에서 보듯 위쪽이 유명한 뽀메롤이고 그 아래로 쌩떼밀리옹 지역이 펼쳐져 있다. 

.

.

슈발 블랑이 가장 북쪽에, 그리고 좀 떨어진 가운데 오른쪽에 쎙떼밀리옹 마을이 있고, 그 주위에 앙젤루스, 오존, 빠비가 늘어서 있다. 

.

슈발 블랑은 오히려 뽀메롤 쪽에 가깝구나. 혼자 아싸인 거 같은데 알고 보면 겁나게 인싸인 애들 옆에 있는 인싸? 그런 느낌이다. 

.

쌩떼밀리옹 지역은 등급이 보르도 지역하고는 별도로 있고 (1955년 도입) , 등급 재조정도 있는 지역이라 햇갈릴 수 있는데, 최근 2012년도 등급 평가에서 가장 상등급인 그랑크뤼 클라스 A에 기존 클라스 B였던 빠비와 앙젤루스가 올라오자, 기존 A였던 슈발 블랑과 오존이 아예 등급 받기를 포기해버린 일이 있었다. 

.

평가라는게 항상 긍정적 작용과 부정적 작용이 같이 있는 것 같다. 혼란 속에서 평가가 도입되면 긍정적 작용이 어느 정도 증가 하다가 어느 순간에는 부정적 작용도 같이 증가하는 것 같다. 

.

 

.

사실 이날은 이 사진에서 보이는 5병의 와인이 준비된 모임이었는데 내가 펄리스를 들고 뒤늦게 참전. (지인 생일잔치였음) 

 

.

코로나 이후 실로 오랜만에 고오급 와인들 늘어놓고 모임을 했다. 

.